홍병선 [洪秉璇, 1888~1967]
감리교 목사, YMCA운동가, 농촌운동가, 호는 목양(牧羊)
【출생부터 1919년까지】
홍병선(洪秉璇, 1888~1967)은 1888년 11월 7일, 서울 종로구 사직동에서 홍태준(洪泰俊)의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그는 1905년 사립 경성학당을 졸업하였다. 경성학당은 1899년 일본기독교도교육회에서 세운 일본식 학교로 학당장은 조합교회 목사 와다세였다. 아마도 홍병선은 1902년경 이 학교에 들어가면서 기독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1908년 일본에 유학, 도시샤(同知社)대학 신학부에 입학하였다. 1911년에 도시샤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한 후 전도사로 한양기독교회를 담임하였다. 이와 함께 보성전문학교 교사로도 활약하였다.
1916년에 남감리회 조선연회에서 정식으로 전도사 직첩을 받았고, 이듬해(1917년) 피어선기념성경학교 교수로 활동하였으며, 1919년 배화여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YMCA 운동에 헌신, 농촌운동에 관심】
1920년 조선중앙 YMCA 간사로 YMCA에 발을 들여 놓은 이후 별세하기까지 40년 이상을 YMCA 운동에 헌신하였다. 1925년 남감리회 본처목사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YMCA 안에 있는 청년회학관 교사로 봉직하기도 하였다. YMCA 농촌부 간사로 취임하면서 농촌사업에 각별한 관심을 두고 농촌운동을 전개하였다.
1927년 9월 20일, 정동예배당에서 모인 제4회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에서 서기에 피선되었다.
1928년 덴마크를 방문하고 그곳의 농촌운동을 시찰하고 돌아온 후 덴마크식 농촌사업을 한국에서도 실시하기 위한 갖가지 계획과 사업을 추진하였는데 그가 남긴 최대의 업적은 협동조합운동이었다. 한창 성행할 때에는 협동조합이 전국에 730개처에 달했고 농촌사업센터도 전국에 320개처가 설립될 정도였다. 1931년 덴마크식 농업학교인 신촌 농민수양소를 창설하여 운영하기도 하였다.
1930년 윤치호(尹致昊)와 더불어 『농업세계(農業世界)』를 간행하여 농촌진흥을 민족문제와 연결시켰으며, 전국을 순회하며 강연회를 개최하고 협동조합과 소비조합을 조직하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중일전쟁 이후 친일 행동】
1938년 중일전쟁 이후 적극적인 친일파의 흔적을 보였다. 기독교청년회관에서 개최된 전쟁협력 강연에 정춘수, 박연서, 이동욱 등 감리교 목사들과 함께 연사로 참가했다. YMCA가 발행하는 《청년》에 〈기독교도와 시국〉이라는 글을 발표해, 기독교도의 신사참배는 황국신민으로서 다른 말이 필요 없을 만큼 당연한 것이라며 신사참배 강요에 호응하는 주장을 편 일도 유명하다.
1939년 청년회학관이 영창(英彰)학교로 발전되면서 이 학교 교장에 취임하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실업교육을 실시하였다.
【해방 이후 활동】
1945년 해방 후 보린회 이사장으로 사회사업에 참여하였고, 1946년 성인교육중앙총본부 부회장, 회장직을 역임하였으며, 1954년 국민대학 강사, 중앙신학교 강사를 역임했으며 농업협동조합 고문, 농업문제연구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57년 농림부 농림위원을 역임하였다. 1963년 중앙YMCA 60주년 기념식에서 명예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67년 한국 YMCA역사 편찬을 위한 사료수집과 집필에 몰두하던 중 1967년 7월 19일 별세하였다. 부인 홍은경(洪恩卿)은 정신여학교 출신으로 태화여자관, YWCA, 절제회 등을 통한 여성운동을 전개하였다. 아들 홍이섭(洪以燮)은 역사학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