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용기 제1권] 서울 3년 – 세례받고
세례받고 영구(永九) 군이 세상 떠난 지 며칠 안 되어 나는 승동 김영구(金永耈) 목사님에게서 세례를 받았다. 나는 믿은 지 3년이 넘었지만 세례 받을 생각은 없었다. 성령으로 세례 받았다는 경험 때문에, 물 …
세례받고 영구(永九) 군이 세상 떠난 지 며칠 안 되어 나는 승동 김영구(金永耈) 목사님에게서 세례를 받았다. 나는 믿은 지 3년이 넘었지만 세례 받을 생각은 없었다. 성령으로 세례 받았다는 경험 때문에, 물 …
김영구의 죽음 내가 쫓겨난 하숙집에 경흥읍교회1 장학생으로 서울 유학 온 김영구(金永九) 군이 한 방에 같이 있었다. 나이는 나보다 한두 살 아래였지만 믿음과 인품이 그렇게 좋을 수 없었다. 그런데 겨울방학이라 그는 …
하숙에서 쫓겨나 나는 하숙집 밥값이 밀려 이부자리를 떼우고 그 추운 겨울 거리에 쫓겨났다. 그러나 내 심경은 오히려 드높았다. 그 무렵에 나는 『톨스토이 십이강』이란 책과 그의 저작집도 더러 읽었다. 부요한 귀족으로 …
장도빈 선생과의 인연 3ㆍ1 독립운동에서의 「피」의 댓가로 위선1 『제등총독』의 『문화정치』가 선언되었다. 그것이 사탕발림의 회유정책이었다는 것은 사실일 것이다. 그래도 『우리사회』에서는 『민족주의』가 어였하게 외쳐지고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 한국말 일간신문이 발간되고 『개벽』 잡지가 …
인쇄된 첫 글 당시 백부님은 서울 견지동에 한성도서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취체역1 겸 전무로 출판사업에 전념하셨다. 「서울」이란 월간 종합잡지, 「학생계」란 학생을 위한 월간지도 내셨다. 「학생계」 편집은 그 때 새파란 청년인 오천석2 씨가 …
중앙YMCA 『만세』 이후 3ㆍ1운동 33인과 주요 관계자들이 감옥에 가고 그 뒤에 남아 학생들과 민중과 청년들에게 이 운동을 『의식화』시킨 본산이 서울 중앙 YMCA였다고 하겠다. 조용히, 그러나 분명하게 민족의식을 키우고 민족문화를 발굴하고 …
1920년대의 서울풍경 예정대로 서울에 닿았다. 여름철이라 사람들은 모두 풀먹여 빳빳하게 대림질한 하얀 모시 두루마기를 입고 다닌다. 고이적삼까지도 구김새 없는 모시로 입었다. 말쑥하게 땟벗이 한 문화족속임에는 틀림없었지만 어딘지 매끄럽고 약해 보였다. …
웅기서 서울로 때는 3ㆍ1운동 다음해 – 나는 그때 웅기 금융조합에 서기로 있었다. 나이는 스무 살. 웅기서 한 오리 떨어진 해변에 웅상이란 동네가 있다. 일찍부터 기독교촌이었다. 거기 출신인 송창근1 씨가 서울 …
외투리 풋내기도 결혼하자마자 나는 회령군청에서 웅기금융조합으로 전직했다. 그 때 웅기에는 은행이 없었기에 금융조합에서 은행업무도 얼마 맡아 상인들 편리를 봐주곤 했다. 그것이 3ㆍ1운동 다음 해였지만 웅기에는 교회가 너무 약했고 경찰이 너무 …
장가가던 이야기 나이 열일곱 정도 밖에 안되는 소년인데도 서기(주사) 어른들이 놀러나갈 때면 나를 끌고 가는 것이었다. 회령읍에서도 제일 찬란한 거리가 일인들이 경영하는 공창가였다. 군청 어른들은 나를 데리고 간다. 기가 약한 …